이소플라본(isoflavone)의 효능과 부작용

    이소플라본(isoflavone)의 개념

    이소플라본은 식물성 단백질로 대두에서 유래된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물질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구조와 활성을 나타내어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라고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과 이소플라본의 유사한 구조

     

     

    이소플라본의 효과

    이소플라본의 대표적인 효능으로는 항암효과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중 유방암에 대해서 가장 많은 연구 보고가 있다. 그외에도 다양한 효과가 있는데 아래와 같다.

     

    • 전립선암 항암효과
    • 대장암 항암효과
    • 심혈관 질환 완화
    • 골다공증 예방
    • 폐경기 증후군 예방
    • 콜레스테롤 감소

     

    그 외에도 탈모를 일으키는 남성호르몬인 DHT(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억제하여 갱년기 탈모는 물론 남성형 탈모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두피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면 탈모가 생길 수 있는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혈류를 잘 흐르게 하여 탈모를 방지 시킬 수도 있다. [3]

     

    대표적인 탈모 연예인, 브루스윌리스

     

    부작용

    이처럼 갱년기 여성 뿐만 아니라 남성에게 치명적인 전립선암과 탈모 등의 효과에 좋은 이소플라본도 두얼굴을 가지고 있다.

     

    우선 갱년기 여성에게는 효과적이지만, 여성호르몬이 활발한 젊은 여성이거나 반대로 남성 호르몬 감소로 힘든 갱년기 남성들에게는 너무 많이 섭취를 하면 치명적일 수 있다라는 주장이 있거나 실험결과가 있다. 거기에 이소플라본의 여성 호르몬 역할로 자주 섭취할 경우 남성의 정자 생산 및 이동활동에 문제가 있다는 보고가 많은데 아래는 실제 실험결과의 내용들이다.

     

     

    2014년 10월, 미국 캘리포니아의 로마린다대학 연구팀

    육식주의자 443명과 채식주의자 31명을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한 결과 채식주의자의 정자 수는 1ml 당 5000만개로 육식주의자 7000만개에 비해 30~40%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자의 활동성도 약 절반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채식주의자의 경우 난임을 유발 할 수 있는 것과 같다.

     

    2016년 12월, 스페인 발렌시아대학의 프란시스코 도밍구즈 박사 연구팀

    25명의 성인 남성으로 약 2년간 조사한 결과 두부를 규칙적으로 섭취한 사람이 정자의 움직임 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은 이소플라본이 남성의 몸안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역할을 하면서 번식 체계인 정자 생산 호르몬 신호체계를 방해하여 정자 생산 및 이동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했다.

     

    그외에도 심하면 여성형 유방이 되는 여유증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여유증 단계, http://www.wellsu.co.kr/%EC%97%AC%EC%9C%A0%EC%A6%9D%EC%9D%B4%EB%9E%80

     

    적당한 섭취는 문제 발생 미비

    다만 최근 들어 진행된 연구에서는 하루 900mg까지 이소플라본을 섭취한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남성성기능에 부정적이지 않다라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4]. 게다가 이소플라본의 하루 섭취 상한량은 100mg 정도로 이는 일상에서 두유나 두부를 섭취하는 정도이며, 오히려 이소플라본의 섭취로 긍정적인 영향이 많다고 한다.

     

    결국 어떤 음식이든 과다섭취를 하지 않을 경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소플라본을 과다섭취하는 경우라면 삼시세끼 두부와 된장찌개를 먹고 하루에 2팩 이상의 두유를 마실 경우 다량의 섭취라 할 수 있겠다.

     

    음식별 이소플라본 함량 (100g당)

    • 콩가루, 178.10 mg
    • 대두, 154.53 mg
    • 청국장, 104.5 mg
    • 연두부, 89.5 mg
    • 낫또, 82.29 mg
    • 된장, 81.97 mg
    • 두부 72.7 mg
    • 순두부 68.5 mg
    • 유부 61.6 mg
    • 국장, 56.37 mg
    • 미소, 41.45 mg
    • 두유, 12.34 mg

     

    이소플라본이 가장 많은 대두

     

    위 음식별 이소플라본 함량[5]을 본 후, 하루 상한 100mg를 넘기지 않게 식단을 조절할 필요가 있겠다. 위의 이소플라본은 원산지과 발효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원산지별 이소플라본 함량을 보면 대두 100g 기준, 미국산 159.98mg, 중국산 118.28mg, 일본산 130.65mg, 국내산은 178.81mg도 가장 높고 전세계 평균은 154.53mg이다.

     

     

    이소플라본을 피하고 싶다면

    모든 콩류가 이소플라본을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유독 콩 중에 대두만 이소플라본이 많이 함유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콩류를 섭취하면 이소플라본의 섭취를 줄일 수 있다.

     

    대두 이외 콩별 이소플라본 함유량 (100g 기준)

    • 팥, 0.59mg
    • 검은콩, 0.01mg (서양 검은콩의 경우)
    • 강낭콩, 0.02mg
    • 네이비빈, 0.21mg
    • 핀토콩, 0.18mg
    • 누에콩, 0.63mg
    • 병아리콩, 0.38mg
    • 렌틸콩, 0.06mg
    • 녹두, 0.09mg

    다만 검은콩의 경우, 국내의 검은콩(흑태, 서리태)과 서양의 검은콩의 종류가 다른데 국내 검은콩은 대두의 종류이기 때문에 대량의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다. 게다가 쥐눈이콩의 경우 대두의 한 종류로 여겨지고 있어 이 역시 이소플라본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연관 포스팅

    칡/칡즙의 효능 및 부작용 (feat. 이소플라본, 삵)

     

    칡/칡즙의 효능 및 부작용 (feat. 이소플라본, 삵)

    칡(arrowroot, 葛)은 다년생 식물로 칡즙 등을 생각하면, 비싸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다른 식물등의 양분을 먹고 클 정도로 워낙 생명력이 뛰어나서 국내에서는 유해식물로 지정된 식물이다.

    darkhero.tistory.com

     

    References

    [1] 콩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BD%A9

    [2] 콩 속의 보물 - 이소플라본(isoflavone) -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33600&CONT_SRC=HOMEPAGE&CONT_ID=5998&CONT_CLS_CD=001021003005 

    [3] "탈모, 멈춰!" 콩이 탈모를 잡을 수 있는 이유

    [4] Clinical studies show no effects of soy protein or isoflavones on reproductive hormones in men: results of a meta-analysis, https://pubmed.ncbi.nlm.nih.gov/19524224/

    [5], 한국 중년여성의 대두식품을 통한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 조사, https://kmbase.medric.or.kr/Main.aspx?d=KMBASE&i=1134820000290050948&m=VIEW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