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나름대로 서울 및 수도권 주변부터 충청도, 강원도 등등 점점 넓혀가면서 산들을 정복(?)해 왔기 때문에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쉬운 산들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유명한 산이라고 정의를 내린 것은 유명하지 않는 산까지 하자면, 이름없는 동네 뒷산까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며, 여기서 말하는 산들은 제 기준(제가 사는 지역) 내에서 하는 것이라는 것을 염두해 두세요. 일단 저는 활동 반경이 서울 서쪽부터 인천까지를 주로 하고 있으며, 1~2주마다 다른 지역의 산들을 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기름값이 말도 안되게 높아서, 너무 먼 곳은 가지 않는 중입니다. 가더라도 가평, 포천 정도까지만 가고 있습니다. 각설하고 아래는 제 기준 난이도 입니다. 하 난이도 산들 동네 뒷산보다는 유명하고, 매주 한번씩 가서 체력..
대둔산에 대한 정보는 사실 케이블카 밖에 없었다. 케이블카를 타지 않으면 생각보다 힘들다라는 정보만 들었었는데 세종을 가게 되면서 세종과 가까운 대둔산으로 충동 등산을 시작하였다. 많은 분들이 대둔산을 케이블카를 타기 위해서 가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단 기름값이 이번부터 장난이 아니었고, 고작 케이블카를 타면서 등산을 했다 말을 하고 싶지 않기에 그냥 올라가기로 했다. 주차장 케이블카를 타지는 않지만, 등산을 시작한 시간이 약 오후 2시 30분이었기 때문에 최단루트를 선택하였고, 케이블카 주차장으로 네비를 검색하면 주차를 할 공간이 많이 있었다. 주차 요금을 받을 줄 알았는데 주말이라 그런건지 아니면 원래 주차요금을 받지 않는건지 모르겠지만, 징수 요원도 없었다. 케이블카 주차장에 주차를 한 후, 등산로로..
이 로그는 약 9개월전인 봄에 오서산을 등정했던 후기를 올리는 것으로 기억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현재 겨울에 등산하기에는 다른 모습일 수 있으니 참고하여 보시면 좋겠습니다. 1일 혼산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기름값이 상당히 부담스럽습니다. 매일 한개의 산을 등정하더라도 엄청난 기름값이 나가며, 특히 서울, 경기도쪽을 모두 돈 수도권에 사는 혼산러들은 더더욱 힘이 듭니다. 그나마 같이 가면 N빵이라도 하든 애인이랑 같이 왔다면 같이 여행이라도 왔다는 생각을 하면 좋겠지만, 저처럼 혼산러는 차라리 내 다리가 힘든게 낫다 생각해서 1일 N산 혹은 한번 묶고 1박 2일동안 연산을 하게 됩니다. 이번에 등정한 오서산은 야매로 간(자차로 최정산을 올라간 후 간) 가야산 이후 간 산으로 이날 마지막은 광덕산을 등..
블랙야크 100대 명산처럼 우리나라 산림청에서도 자체적으로 100대 명산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다. 산림청은 2002년부터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블랙야크 100대 명산보다 오래되었지만 블랙야크는 인증을 할 수 있는 앱과 플랫폼을 제공하기 때문에 후발주자의 100대 명산이 더욱 선호되는 상황이 되어 버렸다. 이미 모든 산을 인증한 사람들은 100대 명산이든 뭐든 산이 중요하다 생각하며 등산을 하는데 나같이 아직 도전하려면 몇년이 걸릴 사람들은 이왕이면 명산으로 가는것이 1석2조일 것이니 제발 본인들 다 인증했다고 "그건 중요한게 아니라 산이 중요한거란다 허허허~"라는 꼰대같은 말투좀 삼가했으면 좋겠다. 서울, 경기도 100대 명산 위 지도는 중복도 포함되기 때문에 강원도에도 속하는 명성산은 리스트에서 제외하..